국내 및 국외 데이터 관리 성숙도 평가 모형 비교
상태바
국내 및 국외 데이터 관리 성숙도 평가 모형 비교
  • 투이컨설팅
  • 승인 2017.12.12 04:32
  • 조회수 3920
  • 댓글 0
이 콘텐츠를 공유합니다

투이컨설팅 문경진 이사



1. 국내 모형
1.1 한국데이터진흥원의 『데이터 관리인증』  - 2008 
한국데이터진흥원의 『데이터 관리인증』은 행정, 의사결정, 정책지원, 데이터 활용 등 여러 목적으로 운영되는 정보시스템의 데이터 관리 수준을 심사·심의하여 인증을 수행한다. 심사영역은 정확성, 일관성, 유용성, 접근성, 적시성, 보안성의 6개 심사영역으로 구성되며 인증수준은 5단계(도입-정형화-통합화-정량화-최적화)로 정의하며 각 단계별 정의는 아래와 같다.

<데이터 관리인증 수준>
그림1_데이터 관리인증 수준.png

그림2_데이터 관리인증 소개 자료.png
데이터 관리인증 소개 자료
(출처: https://www.dqc.or.kr/quality_certification/administrative/standard)


1.2 한국정보화진흥원  『공공데이터 품질관리 수준 평가』 - 2016
한국정보화진흥원의 『공공데이터 품질관리 수준 평가』 모형은 생애주기별 품질관리 체계 확립을 목적으로 공공데이터 수집‧생성‧운영‧제공 등과 관련된 기관 차원의 품질관리 활동 전반 평가를 수행한다. 평가영역은 계획-구축-운영-활용의 4단계 16개 지표로 평가하며 평가 수준은 5단계(도입전-도입초기-관리화-체계화-최적화)로 정의하며 각 단계별 정의는 아래와 같다. 현재는 공공기관의 DB단위로 평가를 수행하고 있으며 2018년부터는 기관 단위 평가를 수행할 예정이다.

<평가 등급>
그림3_평가 등급.png
 
그림4_수준 평가 프레임워크.png
수준 평가 프레임워크
(출처: ‘2017년 공공데이터 품질관리 수준 평가 가이드(개정)’, https://www.data.go.kr)


2. 해외 모형
2.1 CMMI Institute의 DMMSM(Data Management Maturity) - 2014
DMM 모형은 조직의 데이터 자산 및 이와 관련된 활동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세스 개선 및 기능 성숙도 모형으로 데이터 생애주기 전반에 걸쳐 효과적인 데이터 관리를 목적으로 참조모형의 형태로 정의하고 있다. 평가영역은 데이터 관리 전략, 데이터 거버넌스, 데이터 품질 등 6개의 카테고리 및 25개의 프로세스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평가 영역>
그림5_평가 영역.png

<평가 등급>
그림6_평가 등급.png
 

그림7_평가 등급 추가 그림.png
출처: http://cmmiinstitute.com/data-management-maturity

2.2 DAMA DMBOK - 2006
DAMA DMBOK(The Data Management Association International, Data Management Body of Knowledge)는 데이터 관리에 필요한 10개의 주요한 데이터 관리 기능들로 식별하고 정의한 것으로 관리역량을 평가하지는 않지만 데이터 거버넌스 역량에 대해 자가진단 할 수 있는 체계를 제공하고 있다. 

<Knowledge Area>
그림8_Knowledge Area_수정.png

그림9_Knowledge Area 추가 그림.png 
출처: http://dama.org, http://damakorea.org


3. 시사점

우리나라는 2008년부터 한국데이터진흥원의 『데이터 관리인증』이 국내 금융회사들을 중심으로 도입되기 시작했고 이후 공공기관에도 확산되어 왔다. 한국정보화진흥원  『공공데이터 품질관리 수준평가』는 2016년부터 도입되어 공공기관의 품질관리 수준을 평가하는 목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해외는 소프트웨어 품질인증 기관으로 잘 알려진 CMMI에서 개발한 DMM 모형이 있으며, DAMA DMBOK의 경우 한국에서 수년 전부터 데이터 관리 참조 모델로 소개되어 참조되고 있다(※ 2015년 DAMA Korea Chapter(http://damakorea.org)가 설립되어 운영 중).

▶ 해외는 오래전부터 데이터 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관리역량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활발하게 하고 있지만 국내의 경우, 일부 금융회사만 관심을 가지고 있고 공공기관의 경우, 정부 주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 인증을 획득했다고 하여 실제 데이터 관리수준이 높다고 볼 수는 없지만 인증을 획득하기 위한 준비, 및 행위 자체가 데이터 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노력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 데이터 관리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기에, 기업 및 기관의 데이터 관리 역량을 객관적으로 측정해보는 노력이 필요하며 인증을 바탕으로 부족한 점을 보완하여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관리역량을 높여야 할 것이다.


- 끝 -



※ 위 내용은 '투이톡모바일 앱을 통해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하루 5스마트해지는 시간~투이톡!!

 다운로드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