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가 국민의 안전을 지킨다.
상태바
데이터가 국민의 안전을 지킨다.
  • 투이컨설팅
  • 승인 2017.11.27 05:29
  • 조회수 1698
  • 댓글 0
이 콘텐츠를 공유합니다

투이컨설팅 이준용 선임


생활을 하면서 다양한 시설물들을 이용할 수 밖에 없다. 하지만 우리가 이용하는 시설물이 꼭 안전하다고 확신할 수는 없다. 성수대교 붕괴사고(1994), 삼풍백화점 붕괴사고(1995) 이후 시설물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하여 시설물의 안전을 유지하고, 재해와 재난을 예방하고, 시설물의 효용을 증진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폭우로 인한 창원시내버스 좌초사고(2014), 폭설로 인한 우나오션리조트 체육관 붕괴 사고(2014), 해무로 인한 영종대교 106중 연쇄 추돌사고(2015) 등 생각만해도 아찔한 사고가 아직도 이어지고 있다.

최근의 사고들도 자연재해와 인재가 겹쳐 사고가 발생했고, 시설물에 안전관리와 자연재해 정보를 안내하였다면 충분히 예방할 수 있었던 사고라는 것이 지배적인 해석이다. 사고를 예방하고 사고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이미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공공데이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이를 장려하여야 한다.


다양한 데이터의 보고, 공공데이터포털

그림1_공공데이터포탈.png

공공데이터포털(www.data.go.kr)에는 다양한 데이터가 존재한다. 교육, 국토관리, 공공행정, 재정금융, 산업고용, 사회복지 등 16개 카테고리에 대해 694개 기관, 20,885개의 파일데이터, 2421개의 오픈 API, 58개의 표준데이터셋이 존재하는 국내 최대의 데이터 포털이다. 이곳에 있는 다양한 데이터들을 융·복합하여 사용한다면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들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다.


공공데이터 기반 서비스 시나리오

다음은 현재 개방된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서비스 할 수 있는 시나리오들이다.

1. 긴급 대피소 안내 서비스그림2_긴급 대피소 안내 서비스.png
우리나라에는 ‘지진대비소’, ‘지진해일대피장소’, ‘폭우대피소’, ‘산사태 대피소’ 등 다양한 대피소가 지정되어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이 대피소의 존재 여부도 모르고 여행시 발생한 사고라면 그 지역 지리를 잘 알지 못하는 사람에게 안내표지판은 큰 의미가 없다. 현재 행정안전부에서 보유하고 있는 긴급재난문자 서비스로 지진해일대피지구의 위치를 송부하면 네이버, 다음, T맵 등 다양한 길 안내서비스가 위치를 안내해주는 서비스이다. 민간 길 안내서비스는 API가 개방되어 있어 긴급재난문자와 연동하여 문자 수신 시 자동으로 해당 애플리케이션으로 목적지 위치 설정이 가능하다. 미리 지정된 대피로로 안내하여 재난 발생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 사용 데이터: 지진대피소(국토교통부), 지진해일대피지구(행정안전부), 긴급재난문자(행정안전부), 산사태정보시스템(산림청), 지도정보(민간)


2. 위치 기반 시설물 안전 경로 서비스
그림3_현재 터널 안전 지수.png
날씨 정보와 터널, 교량, 지하차도, 도로터널, 절토사면, 하구둑 등 다양한 시설물정보, 그리고 길안내 서비스를 연계하여 실시간으로 자연재해 안전경로를 안내해주는 서비스이다. 강수량ㆍ강설량이 많아지면 위험한 경로를 안내해주고 서비스 이용자가 판단하여 위험을 피해갈 수 있도록 안내해주는 서비스다. 또한, 안전한 길로 안내를 요청할 경우 안전 경로로 안내하여 자연재해로 인한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 사용 데이터: 날씨정보(기상청), 교통정보(도로공사), 시설물정보(한국시설안전공단), 지도정보(민간)


3. 노후ㆍ멸실 시설물 리모델링 창업지원 서비스
그림4_노후멸실 시설물 리모델링 창업지원 서비스.png
생활 주변에 다양한 노후ㆍ멸실 시설들이 존재하고 노후ㆍ멸실 시설물들은 붕괴 위험이 높고, 범죄의 장소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아 생활안전상으로도 위험하다. 이런 시설물들에 대해 지도정보, 유동인구 정보, 날씨정보, 시설물 기본정보 등을 융합하여, 시설물을 활용한 창업지원서비스를 통해 노후ㆍ멸실 시설물 유지비용 절감과 노후ㆍ멸실 시설물로 인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 사용 데이터: 노후ㆍ멸실 건축물(국토교통부), 시설물기본현황(한국시설안전공단), 유동인구현황(각 시/도), 날씨정보(기상청), 지도정보(민간)

위에 제시한 시나리오 외에도 현재 개방되어 있는 데이터로 가능한 서비스가 많다. 하지만, 공공데이터를 통해 만들어진 안전관련 서비스는 많지 않다. 개방된 공공데이터만으로 국민 안전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크다.


- 끝 -



※ 위 내용은 '투이톡모바일 앱을 통해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하루 5스마트해지는 시간~투이톡!!

 다운로드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